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스마트폰의 두뇌로 불린다.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스마트폰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을 품고 있어서다. 그래서 스마트폰 체급에 따라 다른 AP가 사용된다. 보통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는 퀄컴 스냅드래곤과 미디어텍의 제품이 쓰인다.
사용자들에게 더 익숙한 AP는 스냅드래곤이다. 많은 제조사들이 퀄컴 스냅드래곤을 자사 플래그십 제품에 탑재하고 있어서다. 미디어텍 AP는 주로 중저가 스마트폰에 쓰이는 경우가 많고, 비교적 인지도가 낮다. 허나 시장 점유율을 보면 미디어텍도 만만치 않은 업체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미디어텍은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이제 미디어텍은 프리미엄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미디어텍은 지난해 성능을 크게 높인 디멘시티 9000을 선보였다. 이어 지난 6월에는 이를 개선한 디멘시티 9000 플러스(+)를 발표했다. 미디어텍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는 듯하다. 차세대 프리미엄급 AP 디멘시티 9200을 곧바로 공개했다. 디멘시티 9200은 얼마나 빨라졌을까.
8일(현지시간) IT 매체 디지털트랜드(DigitalTrends)는 미디어텍이 세계 최초 기술로 무장한 디멘시티 9200을 공식 발표했다고 전했다. 디멘시티 9200은 세계 최초 Arm V9 2세대 아키텍처와 Arm 이모탈리스(Immortalis) G715 GPU를 품은 AP다. 이뿐 아니라 모바일 AP 처음으로 와이파이 7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성능, 전력 효율, 네트워크 속도 모두 크게 개선했다고 알려졌다.
먼저 디멘시티 9200 CPU는 고성능 코어 1개, 중급형 코어 3개, 저성능 코어 4개로 이뤄진 ‘1-3-4’ 구성이다. 고성능 코어에는 Arm 코텍스 X3(Cortex X3)가 쓰였다. 지난 6월 Arm은 코텍스-X3 성능이 전작인 코텍스-X2 대비 25% 빨라졌다고 설명한 바 있다. 중급형 코어는 코텍스 A715, 저성능 코어는 코텍스 A510을 사용했다.
미디어텍에 따르면, 이를 통해 CPU 싱글 코어 성능은 최대 12%, 멀티 코어 성능은 10%까지 향상됐다. 전력 효율도 좋아졌다는 설명이다. 디멘시티 9200은 기존 고급형 AP인 디멘시티 9000 대비 전력 소비가 최대 25% 줄었다. 참고로 디멘시티 9200은 대만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의 2세대 4나노 공정(N4P)으로 생산된다.
특히 디멘시티 9200은 처음으로 Arm ‘이모탈리스 G715’ GPU를 사용해 주목받고 있다. 이모탈리스 G715는 코텍스-X3와 함께 발표된 차세대 GPU로, 하드웨어 기반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한다. 레이 트레이싱이란 자연스러운 광원 효과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결과적으로 디멘시티 9200은 41% 적은 전력을 사용하면서, 그래픽 처리 성능은 32% 향상됐다고 한다.
와이파이 7을 지원한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와이파이 7은 현재 쓰이는 와이파이 6보다 2배 이상 빠른 네트워크 속도를 제공하는 차세대 규격이다. 미디어텍은 디멘시티 9200이 최대 6.5Gbps 속도를 보장한다고 강조한다.
앞서 지난 6월 인텔과 브로드컴이 공유한 테스트에서도 와이파이 7은 빠른 속도를 보여줬다. 두 회사는 와이파이 7을 지원하는 PC와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와이파이 7은 5Gbps 이상 속도를 기록했었다. 단 아직 와이파이 7은 상용화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는 공유기가 있어야 사용 가능하다.
실제 디멘시티 9200은 어느 정도 성능을 보여줄까. 지난달 말 디멘시티 9200을 탑재한 것으로 추측되는 기기 안투투(Antutu) 벤치마크 측정 결과가 포착됐다. 디멘시티 9200은 총합 126만점을 획득했다. 이는 디멘시티 9000, 퀄컴 고급형 AP 스냅드래곤8 1세대 보다 높은 점수다. 단 한 차례 벤치마크 점수로 AP 성능을 대표하긴 어렵기에, 추후 나올 측정 결과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디멘시티 9200은 올해 연말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제품에 탑재될 전망이다. 비보의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 X90이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퀄컴의 차기 AP 스냅드래곤8 2세대와 어떻게 경쟁할지도 관심사다. 퀄컴은 이달 중순 미국 하와이에서 스냅드래곤 서밋을 열고 스냅드래곤8 2세대를 공개할 전망이다. 이 AP는 삼성전자 갤럭시 S23 시리즈에 탑재된다고 알려졌다.
[fv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