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들어 수익을 늘리기 위한 넷플릭스의 계획이 점차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1~2분기 넷플릭스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그 뒤 넷플릭스가 몇 가지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대부분 사실이었다. 넷플릭스는 광고 요금제를 발표했고, 계정 공유 단속 포석인 프로필 전송 기능을 선보였다. 이제 계정 공유 단속 실행만 남았다.
20일(현지시간) 타임지(Time)는 넷플릭스가 최근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오는 2023년부터 공식적으로 계정 공유 비용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로부터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접근 방식에 착수했다”며 “내년 초부터 이를 출시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를 위해 하위 계정을 개설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부연했다.
계정을 공유하려면 얼마나 많은 금액을 부담해야 하는 걸까. 자세한 설명은 없었으나 유추할 수 있다. 올해 초 넷플릭스가 코스타리카, 칠레, 페루 등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계정 공유 추가 요금제를 시범적으로 선보인 바 있기 때문이다. 당시 넷플릭스는 2~3달러를 지불하면, 하위 계정을 최대 2개까지 추가하도록 했다.
방식은 어떨까. 당시 넷플릭스는 남아메리카 지역 계정 공유 사용자들 하위 계정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프로필, 맞춤형 추천 기능을 제공했다.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로 수익을 창출하면 자연스레 단속도 이뤄질 전망이다. 이 역시 전례가 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외부 로그인을 감지하면 사용자들에게 문자, 이메일로 인증을 요구하는 테스트를 진행한 바 있다.
이는 지난 7월 아르헨티나,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등 남아메리카 5개국에 도입한 ‘홈’ 기능과 맞닿아 있다. 홈 기능이란 인터넷주소(IP), 계정 활동을 추적해, 원래 넷플릭스를 시청하던 지역(기본 홈)을 2주 이상 벗어난 경우 추가 요금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넷플릭스가 반드시 이 같은 방식을 취하리란 보장은 없으나, 큰 틀은 비슷할 듯하다.
넷플릭스는 이미 계정 공유 사용자들에게 추가 요금을 부가하기 위한 포석을 깔아뒀다. 며칠 전 발표한 ‘프로필 전송’ 기능이 대표적이다. 프로필 전송은 사용자가 오랜 시간 구축해놓은 프로필 데이터를 다른 계정으로 옮기는 기능이다. 계정이 바뀌더라도 맞춤 추천, 시청 기록, 설정 등 기존 사용 정보는 그대로 유지된다.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사용자들에게 추가 사용 요금을 부과하는 이유는 뭘까. 새로운 수익원을 얻기 위해서다. 현재 적지 않은 넷플릭스 사용자들이 요금을 함께 부담하는 대신, 계정을 공유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 사용자 수가 1억 가구를 넘어섰다고 추산한다. 넷플릭스 입장에서 이들을 유료 고객으로 전환하며 더 많은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셈이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이마케터(eMarketer)는 계정 공유 사용자들이 모두 유료 가입자로 전환될 경우, 넷플릭스 구독자 수는 3배정도 증가한다고 내다봤다. 현재 넷플릭스 구독자 수가 약 2억명이다. 이마케터 전망대로라면, 계정 공유 단속으로 넷플릭스 구독자 수가 최대 6억명까지 불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넷플릭스는 올해 1~2분기 처참한 실적을 기록했다. 1분기에는 구독자 20만여명이 이탈했다. 넷플릭스 구독자 수가 감소한 건 10여년 만에 처음이었다. 이어 2분기에는 구독자 100만여명이 넷플릭스를 떠났다. 이에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 단속과 광고 요금제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광고 요금제는 사용자가 광고를 봐야 하는 대신 저렴하다. 한화로 5500원인데, 이는 가장 저렴한 일반 요금제인 베이직 대비 절반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 부진한 실적은 넷플릭스에게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명분을 줬다. 헌데 이번 3분기 실적을 보면 넷플릭스 실적은 나쁘지 않다. 넷플릭스는 이번 분기에만 240만명의 추가 구독자 수를 확보했다. 특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레드오션으로 꼽히는 북미 지역에서 10만4000여명이 늘었다.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7만3000여명 증가한 것이다.
넷플릭스는 남은 4분기에도 호실적을 전망했다. 광고 요금제와 프로필 전송 기능을 도입하면 구독자 수를 최대 450만명 더 늘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넷플릭스의 낙관적인 전망이 맞아떨어질지, 내년 계정 공유 단속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테크플러스 에디터 윤정환
tech-plus@naver.com
[fv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