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애플의 신제품으로 아이폰15만 있는 건 아닙니다. 그동안 애플이 아예 처음 선보이는 AR·VR 헤드셋도 올해 출격을 앞두고 있고요. 평소대로라면 애플워치 시리즈 9도 올해 출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애플은 지난 몇년 간, 애플워치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왔습니다. 2019년에는 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AOD), 2020년 혈중 산소측정 기능을 추가했었죠. 2021년에는 디스플레이 크기를 더 키워서 출시했고요. 지난해에는 온도 감지 센서를 추가하기도 했습니다. 그렇기에 차세대 애플워치에서도 어떤 기능이 추가될지, 외관은 어떻게 변할지 관심이 쏠리는데요.
그런데, 출시 전부터 이런저런 소문이 무성한 아이폰15 라인업과 애플 AR/VR 헤드셋과 달리 애플워치 시리즈 9에 대해 들려오는 이야기는 다소 적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애플워치9을 둘러싼 소문이 아예 없는 건 아니에요. 그래서 오늘은 지금까지 나온 애플워치 시리즈 9에 대해 소문을 함께 정리해보려고 해요.
애플워치로 혈당 검사를? 당뇨 환자에게 필수품 될까
지난 2월 23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마크 거먼은 애플워치 시리즈 9에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기능에 대해 언급했는데요. 차세대 애플워치에는 ‘비침습 혈당 측정’ 기능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어요.
보통 혈당을 측정하려면 날카로운 채혈침으로 손가락 가장자리를 찔러 피를 내야 하잖아요. 그런데, 애플이 워치에 탑재하려는 비침습 혈당 측정 기능은 침으로 피부를 찌르지 않고도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에요. 모세혈관에서 나온 간질액이 있는 곳에 레이저 빛을 쬐어서 센서로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이라고 해요. 이를 위해 ‘실리콘 포토닉스’라는 반도체 칩도 사용됐습니다.
애플은 비침습 혈당 측정 기술을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 때부터 극비리에 연구해왔던 것으로 알려졌어요.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백 명을 대상으로 해당 기술을 테스트했습니다. 회사는 이미 개념증명 단계까지 도달했다고 해요.
다시 말해, 기술을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상태까지 진전됐다는 겁니다. 만약 블룸버그의 예상대로 애플이 혈당 측정 기술을 애플워치9에 탑재한다면, 수많은 당뇨 환자에게 애플워치가 필수품이 될 수도 있겠네요.
마이크로 LED 탑재되는 첫 제품 될 수도…크기 작아 상대적으로 개발 쉬워
(출처: 애플)
예전부터 2023년에 출시될 애플워치에 마이크로 LED가 탑재될 것이란 소문이 많았습니다. 마이크로LED는 현재 사용되는 OLED 디스플레이보다 더 밝고, 선명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어요. 그래서 더 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죠.
애플은 궁극적으로 아이폰에 마이크로 LED를 탑재하는 것이 목표인데요. 화면이 클수록 비용도 많이 들고 개발이 더 어려워요. 그래서 애플워치가 마이크로 LED를 탑재하는 데 가장 적합한 제품으로 꼽혔어요. 애플 제품 중 가장 작은 화면을 가져 상대적으로 개발이 쉽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가장 최근 소문에 따르면 애플워치 중에서도 내년 출시가 유력한 ‘애플워치 울트라’에 마이크로 LED가 가장 먼저 탑재될 거라는 말도 있어요. 그렇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더 자세한 이야기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애플워치 시리즈9 언제, 얼마에 출시되는데?
(출처: 애플)
그렇다면 애플워치 시리즈 9, 과연 언제 공개될까요. 그동안 애플은 애플워치를 새로운 아이폰과 함께 공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도 아이폰 15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을에 애플워치가 함께 찾아올 가능성이 높아요.
가격에 대해선 아직 뚜렷한 이야기가 없는데요. IT 매체 씨넷은 그동안 미국에서 애플워치 가격이 동일하게 유지된 점을 지적하며, 올해도 비슷할 거라고 예측했어요. 전작인 애플워치 시리즈 8이 399달러였는데,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책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애플워치를 둘러싼 소문에 대해 함께 알아봤는데요. 소문대로 애플워치 시리즈9에 혈당 측정 기능이 도입된다면,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애플워치에 추가된 기능 중 가장 혁신적인 기술일 것 같네요. 회사가 오랜 시간 공들인 기능인 만큼, 과연 예상대로 애플워치 시리즈9에 적용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테크플러스 에디터 이수현
tech-plu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