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eSIM과 통신사의 미묘한 상관관계

techplus 조회수  


SIM 슬롯이 곧 스마트폰에서 사라질지도 모를 일입니다.

9월부터 우리나라에서도 eSIM을 쓸 수 있습니다. eSIM은 그동안 스마트폰의 가입 정보를 담던 손톱만한 SIM 카드를 없애고, 스마트폰에 직접 내려받는 인증 방식입니다. 스마트폰을 구입하면 날카로운 핀으로 옆구리를 찔러서 작은 트레이를 꺼내고 그 안에 SIM 칩을 넣는 일이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너무 간단하게 이야기한 것 같지만 사실 이 SIM은 스마트폰을 비롯해서 휴대전화의 가입 정보를 인증하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이 SIM과 휴대전화는 꽤 오랫동안 인연을 맺어 왔는데, eSIM은 물리적인 SIM 카드 대신에 그 안에 들어 있는 가입 정보, 인증 정보를 소프트웨어로 대신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칩을 기기 안에 넣는 것은 단순히 기술적인 변화를 넘어 우리가 휴대폰을 구입하고 개통하는 방법부터 기기를 쓰는 모든 과정의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여기에 요금과 통신사들의 수익 셈법까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CDMA 2G, SIM 없던 시절

스마트폰을 쓰려면 꼭 이동통신사에 가입해서 전화번호를 받고, 5G나 LTE 등의 통신망과 요금제 등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이를 증명하는 디지털 증표가 SIM입니다. 이 작은 칩은 단순해 보이지만 가입자 고유의 식별 번호를 여러 가지 암호 기술을 통해 주고받으면서 통신사와 약속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eSIM은 이 칩을 없애고 스마트폰 안에 넣는 것이지요. 그런데 휴대전화를 조금 오래 써 오셨다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있을 겁니다. 2G 시절까지 우리가 쓰던 휴대폰은 SIM카드가 없었다는 점 말이지요. 지금은 SIM이 너무 당연하지만 우리나라의 초기 이동통신 서비스는 SIM 칩 대신에 휴대폰 내에 심어져서 기기를 통신사에 등록하는 방식이었습니다.

GSM 방식의 이동통신을 쓰던 대부분의 국가는 SIM을 기반으로 이용자를 식별했지만 우리나라가 선택한 CDMA 방식은 사실상 국내만의 생태계를 위한 기술이었기 때문에 기술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굳이 해외의 SIM 규격 표준이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래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통신망이 해외와 달라서 쓸 수 있는 기기는 정해져 있었고, 또 통신 서비스는 애초에 SIM 없이 기기를 직접 등록해서 쓰는 것인 줄 아는 환경이 컸지요.


이런 휴대전화 시절에 우리는 SIM이라는 것도 모르고 살았지요.

이는 이동통신사들이 단말기 유통 시장을 쥐고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정착된 문화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게 의외로 통신사들의 절대적인 권력을 만들어 주었지요. 이동통신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통신망을 설치해서 이를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다른 하나는 휴대전화의 유통입니다. 최근에야 스마트폰이 글로벌로 판매되고, 전 세계의 이동통신 주파수가 어느 정도 통일이 되었지요. 하지만 예전에는 통신사마다 쓰는 주파수 대역이 달랐고, 특히 국내는 CDMA를 중심에 두고 서비스를 하면서 특정 조건에 맞는 기기만 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조건에 대한 부분들을 만족시킨 기기만 통신사를 통해서 판매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통신사들이 직접 운영하는 인터넷 서비스, 음악 서비스를 비롯해, 자체 규격의 문자메시지까지 하드웨어 제조사들은 통신사의 조건을 맞춰서 만들어야 했습니다. 자연스럽게 통신사는 기기에 대한 지배력이 생기게 됐지요.

SIM과 휴대폰 유통, 그리고 이동통신 업계의 힘

이런 분위기는 WCDMA를 표준으로 삼은 3G 시절의 초기까지 이어집니다. 2000년대 후반까지 이동통신사들은 네이트나 쇼 등 자체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했고 음악, 비디오, 게임 등 콘텐츠 유통까지 했습니다. 통신사들은 이를 판매하는 창구 역할을 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조사들은 이 서비스들을 품은 휴대폰을 만들어야 했고, SIM을 써야 하는 3G 시대에도 여전히 강력한 지배력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는 국내만의 일이 아니라 일본을 비롯해 많은 시장에서 일어나는 일이기도 했습니다.

이를 허물어낸 게 아이폰입니다. 애플은 통신 규격에 대한 조건들을 맞춰두고, 통신사들이 이를 따르도록 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강요라고 할 수도 있지만 이를 반발할 수 없는 것이, 애플은 아이폰의 통신 규격을 3GPP가 결정한 WCDMA의 규격에 맞춰두었습니다. 버라이즌을 위한 CDMA 방식의 아이폰이 아이폰4S까지 나오긴 했지만 아이폰은 기본적으로 3G 통신망의 표준을 쓰도록 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아이폰을 정상적으로 쓸 수 없는 통신사는 기술 표준을 쓰지 않는 셈이죠.


3G와 함께 SIM이 우리 일상에 들어오면서 휴대폰 구입 문화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초기에는 그래도 각 국가의 주파수를 최적화해야 했기 때문에 세부 모델이 나뉘기는 했지만 주파수 대역 외에는 전 세계의 모든 기기 경험이 똑같은 첫 기기였습니다. 그 위에서 돌아가는 서비스와 앱의 다운로드는 모두 애플의 앱스토어를 통해 이뤄졌고, 앱스토어에는 누구나 앱을 갖고 들어와서 사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적지 않은 통신사들은 당연히 아이폰을 거부했지요. 통신사는 그저 통신망만 제공하는 역할만 남게 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도 갖게 됐지요. 갤럭시를 비롯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은 대부분 글로벌 스펙으로 기기를 통일하면서도 통신사들이 필요한 앱들을 프리로드해서 판매하기도 했지만 통신사에 얽매이지 않는 자급제 형태의 스마트폰 판매는 빠르게 늘어났습니다.

통신사는 기기의 스펙을 결정할 수도 없고, 자체 모델을 만들거나 독점 제품을 만드는 것도 어려워졌습닏다. SIM이 대중화되면서 이용자가 기기를 바꾸는 과정에서도 통신사가 관여할 수 있는 부분도 사라졌습니다. 우리나라도 허용된 기기만 쓸 수 있도록 하는 ‘화이트리스트’를 없애고 기술적인 이유 등으로 쓸 수 없는 기기만 빼고 자유롭게 SIM 카드만 갈아 끼워 기기를 바꿔 쓸 수 있도록 하는 ‘블랙리스트’ 제도가 자리를 잡았지요.

유통으로서의 역할을 상당 부분 내려놓게 된 것이지요. 국내의 통신 관련 법도 이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통신사는 통신 서비스만 제공하고, 기기 유통은 제조사가 직접 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아 갑니다. 약정 할인 제도도 바뀌어서, 기기 구입 가격을 보조해주는 것이 아니라 장기 가입에 따라 통신 요금을 할인해주는 방향으로 움직였습니다. 통신사는 기기에 대해서 관여하기 어려워진 것입니다.

SIM을 둔 통신사들의 동상이몽

이렇게 스마트폰의 등장과 SIM의 대중화 이후 국내 통신사들은 꽤 많은 부분이 개방되긴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이 통신사 개방의 물꼬를 튼 SIM이 다시 사라지게 된 상황에서 적지 않은 통신사들이 불편한 기색을 드러냅니다. SIM을 내려놓지 않겠다는 것이지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일단 이 SIM 칩의 판매가 통신사 매출에 끼치는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 ‘그게 얼마나 한다고?’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애초에 이동통신 서비스는 초당 2원 남짓한 요금을 모아서 큰 매출을 만들어 왔던 회사입니다.

SIM을 판매하는 비용은 절대 무시할 수 없지요. 그리고 또 통신 규제를 통해서 가입비와 보증금 등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사실상 가입에 대한 비용을 SIM 카드에 녹여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eSIM은 이마저도 사라지게 되는 것이지요. 어떻게 보면 지난 40여년 가까운 이동통신 역사에서 통신사들은 많은 것들을 내려놓았지요. SIM을 유료로 판매하는 것도 나름의 사정이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반면 이야기가 조금 다른 나라들도 있습니다. 사실 다른 나라의 통신사들은 새 부분 SIM 칩에 따로 돈을 받지 않습니다. 이 칩은 원가가 몇백원 수준이기 때문에 통신사들은 이 칩을 오히려 나눠주는 것으로 마케팅을 합니다. 저도 호주 시드니의 애플스토어에서 아이폰을 구입했는데, 오렌지의 SIM 카드를 주더군요. 필요 없다고 하니, 그래도 여기에서 휴대전화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이걸 쓰면 편리할 것이라며 넣어주더군요.

eSIM은 이런 통신사들에게는 SIM 칩을 사서 포장하고, 나누어주는 생산과 물류 비용을 완전히 없앨 수 있습니다. 괜찮은 정책인 것이지요. 반면 국내 통신사들처럼 SIM을 판매하는 환경에서는 eSIM 도입이 칩 판매액만큼 매출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겠지요. 통신사로서는 조심스러운 일입니다.

그래서 이를 다루는 비용에 돈을 받기로 했습니다. eSIM을 발급하고 관리하는 인프라에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따라붙긴 하지만 SIM 칩의 판매 수익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우려가 더 크겠지요. eSIM 다운로드 수수료는 2750원 정도로 책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 가지 걸림돌이 있습니다. eSIM은 기기에 다운로드받을 때마다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그러니까 기기를 바꾸면 다시 2750원을 내야 하는 것이지요. 새 기기를 살 때마다, 또 수리 등을 이유로 기기를 바꿔 써야 할 때마다 돈을 내야 합니다.

또한 기기를 바꾸는 과정도 번거로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통신사의 대리점을 찾거나, 기기에서 직접 내려받아야 하는데 이 절차가 아무리 간단하다고 하더라도 SIM을 옮겨 꽂는 것과 비교할 수는 없겠지요. 어떻게 보면 다시 SIM이 없던 이전의 통신 환경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통신사들은 SIM 판매를 통한 매출을 어느 정도는 유지하면서 가입자와 기기 제조사들에게 나름의 영향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기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도 통신사의 역할이 다시 늘어나기도 할 테고요.

eSIM이 바꾸어 놓을 통신 문화

그럼에도 국내 통신사들은 이 eSIM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습니다. 해외의 경우 eSIM을 쓰는 이유 중 하나가 통신망의 품질이 썩 좋지 않기 때문에 두 개 통신사에 동시에 가입해서 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SIM은 물리적으로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제조사로서는 듀얼 SIM 슬롯을 두는 것이 꽤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그 자리에 배터리를 조금이라도 더 채우는 것이 효과적이니 말이지요. 그래서 eSIM의 도입은 상대적으로 쉽게 자리를 잡았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어느 통신사를 고르더라도 전국적으로 고른 품질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질 때문에 두 개 통신사에 가입할 이유가 별로 없죠. 지금 이야기되는 것도 개인용 휴대전화와 업무용 휴대전화를 분리해서 쓰는 이들이 기기를 두 대 쓸 필요 없이 한 대만으로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SIM은 점점 크기를 줄여 왔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소프트웨어로 대체될 차례입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것은 또 조금 다릅니다. 바로 요금을 줄이는 것입니다. 최근 국내 통신 시장에서 알뜰폰의 역할이 꽤 재미있습니다. LTE망의 도매가가 내려가면서 흥미로운 요금제들이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화 요금이 싼 통신사의 서비스에 가입하고, 데이터 요금이 싼 서비스에 가입해서 전화와 인터넷을 분리하면 요금이 내려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통신 요금을 개개인이 더 세밀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이 때문에 국내에는 SIM 두 개를 꽂는 듀얼 SIM 스마트폰들이 잘 나오지 않는 편입니다. 그리고 eSIM이 도입되면 헤비유저들을 중심으로 아주 활발하게 통신사와 요금제의 조합이 공유될 겁니다. 대형 통신사들로서는 골칫거리가 되는 셈입니다. 물론 이용자로서는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겠죠.

제 경우에는 해외 출장이 잦을 때 전 세계 어디에서나 LTE를 저렴하게 쓸 수 있는 구글 파이를 즐겨 썼는데, 이 구글 파이 USIM을 꽂는 전용 기기를 따로 갖고 다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eSIM이 활발하게 쓰이게 된다고 하면 국내 통신 서비스를 eSIM으로 대신하고, 남는 SIM 슬롯에 구글 파이 SIM을 꽂을 수 있겠지요.


앞으로는 해외여행에서도 로밍 대신에 현지에서 eSIM을 하나 더 발급받아서 쓰는 일이 대중화될 지 모를 일입니다.

사실 이 eSIM은 국내에서 꽤 오래 미뤄져 왔습니다. 2016년부터 쓰여 왔고, 이미 아이폰과 구글 픽셀을 비롯해 많은 기기들이 eSIM을 품고 있습니다. 국내도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eSIM 도입을 공식화했고, 약정 할인이나 기기 출시 등 준비가 이뤄졌지요.

정부도, 기기 제조사들도 미룰 이유는 없었고, 통신사들도 더 이상 이를 막고 미룰 여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몇 년 안에는 아예 SIM 트레이가 없는 스마트폰도 나오게 될 겁니다. 그리고 번호를 두 개씩 쓰는 게 어색하지 않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통신 서비스 이용 문화들이 만들어지겠지요.

통신사들로서는 씁쓸한 부분이 있겠지만 결국 기술이 진화하는 방향은 이용자들이 편리한 쪽으로 흘러가게 되어 있습니다. 번호 두 개를 쓰는 문화가 아직은 낯설지만 어떻게 보면 이미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고민해 온 휴대전화 이용 문화가 듀얼 SIM을 거쳐 eSIM으로 넘어가는 것일 뿐입니다.

필자: 최호섭 (work.hs.choi@gmail.com)

[fv0012]

techplus
techplus0921@gmail.com

댓글0

300

댓글0

[Techplus] 랭킹 뉴스

  • 구형 안드폰, 곧 '캘린더·크롬' 못쓴다
  • 테슬라 사이버트럭 지연 이유는 '스테인리스 스틸'?
  • 아이폰 네임드랍 개인정보 유출 위험, 진짜일까?
  • 안드로이드용 구글 앱 검색, 아이폰 ‘사파리’와 비슷해진다
  • 첫 AI 폰 될 삼성 갤럭시 S24…상표로 확인됐다
  • 보급형 모델에 대한 새로운 소문…애플 비전프로 근황

[Techplus] 공감 뉴스

  • 삼성 XR 헤드셋 '삼성 글래스' 상표 등록, 출시는 언제?
  • 소니 카메라 전용 '유료 펌웨어' 등장...기능은?
  • 광고 없는 페북·인스타 "이의 있소"...불만 제기돼
  • 차기 낫싱폰 2a는 전작보다 저렴하게 나올까?
  • 삼성 인터넷 ‘PC 버전’ 등장...직접 살펴보니
  • 5G 스마트폰에 이어 헤드셋도? 화웨이, 비전프로 대항마 개발 중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에펠탑만 가던 후회의 날들…” 낭만의 도시 파리에서 가볼만한 의외의 장소 BEST5
  • “낭만 그 자체” 서촌 북촌 먹거리 Best8
  • “베트남 여행, 어디로 가지?” 여행 추천 도시 BEST3
  • “가을풍경을 한눈에” 전국 케이블카 낭만 명소 추천 TOP3
  • “충격! 이런 게 있었어?” 도쿄역과 교토역에서 꼭 사야하는 기념품 TOP10
  • “이것이 일본의 가을!” 기가막힌 가을 풍경 즐길 수 있는 곳
  • “이것만 사다달래요.” 베트남 여행 갈 때마다 센스있는 친구에게 꼭 부탁받는 선물 best5
  • “찝찝해도 이만한 해외가 없네” 대마도에서 보내는 당일치기 여행지 추천
  • “서울 속 외국” 차이나타운 볼거리・먹거리 추천
  • “전직 알바생이 보장합니다” 진심을 담아 추천하는 컴포즈 메뉴 BEST4
  • “10월이면 끝! 고궁 야간개장” 그곳에서 남기는 인생샷
  • “정신 못 차리고 쓸어 가네” 일본인들이 한국에오면 꼭 사가는 기념품 BEST4

[Techplus] 인기 뉴스

  • 구형 안드폰, 곧 '캘린더·크롬' 못쓴다
  • 테슬라 사이버트럭 지연 이유는 '스테인리스 스틸'?
  • 아이폰 네임드랍 개인정보 유출 위험, 진짜일까?
  • 안드로이드용 구글 앱 검색, 아이폰 ‘사파리’와 비슷해진다
  • 첫 AI 폰 될 삼성 갤럭시 S24…상표로 확인됐다
  • 보급형 모델에 대한 새로운 소문…애플 비전프로 근황

[Techplus] 추천 뉴스

  • 삼성 XR 헤드셋 '삼성 글래스' 상표 등록, 출시는 언제?
  • 소니 카메라 전용 '유료 펌웨어' 등장...기능은?
  • 광고 없는 페북·인스타 "이의 있소"...불만 제기돼
  • 차기 낫싱폰 2a는 전작보다 저렴하게 나올까?
  • 삼성 인터넷 ‘PC 버전’ 등장...직접 살펴보니
  • 5G 스마트폰에 이어 헤드셋도? 화웨이, 비전프로 대항마 개발 중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에펠탑만 가던 후회의 날들…” 낭만의 도시 파리에서 가볼만한 의외의 장소 BEST5
  • “낭만 그 자체” 서촌 북촌 먹거리 Best8
  • “베트남 여행, 어디로 가지?” 여행 추천 도시 BEST3
  • “가을풍경을 한눈에” 전국 케이블카 낭만 명소 추천 TOP3
  • “충격! 이런 게 있었어?” 도쿄역과 교토역에서 꼭 사야하는 기념품 TOP10
  • “이것이 일본의 가을!” 기가막힌 가을 풍경 즐길 수 있는 곳
  • “이것만 사다달래요.” 베트남 여행 갈 때마다 센스있는 친구에게 꼭 부탁받는 선물 best5
  • “찝찝해도 이만한 해외가 없네” 대마도에서 보내는 당일치기 여행지 추천
  • “서울 속 외국” 차이나타운 볼거리・먹거리 추천
  • “전직 알바생이 보장합니다” 진심을 담아 추천하는 컴포즈 메뉴 BEST4
  • “10월이면 끝! 고궁 야간개장” 그곳에서 남기는 인생샷
  • “정신 못 차리고 쓸어 가네” 일본인들이 한국에오면 꼭 사가는 기념품 BEST4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