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번 아이폰 15 시리즈 역시 전작보다 좋아진 카메라 성능을 선보이며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특히 기대해볼 만한 모델은 ‘아이폰 15 프로 맥스’다. 애플은 이번 프로 맥스 카메라에 ‘테트라프리즘(Tetraprism)’이라는 다소 특이한 방식의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 후면에는 48MP 메인카메라 12MP 초광각 카메라 12MP 망원 카메라가 탑재돼 있다. 여기서 테트라프리즘 방식을 적용한 건 망원 카메라로 이를 통해 5배 광학 줌을 지원한다.

테트라프리즘은 카메라 렌즈를 통과한 빛을 내부에서 4번 반사해 이미지 센서까지 도달하게 하는 기술이다. 렌즈 아래 특수 프리즘 구조를 배치해 작은 면적에서 긴 초점 거리를 구현할 수 있게 구현했다. 이 때문에 카메라 렌즈를 통과한 빛이 수직이 아닌 가로로 꺾여 이미지 센서까지 도달한다.
망원 카메라는 초점 거리 확보가 관건인데, 애플은 빛이 같은 공간에서 더 오래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해 훨씬 적은 공간으로 5배줌 광학 카메라를 구현한 것이다.
애플이 이렇게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5배 광학 줌을 구현했지만, 삼성전자와의 비교는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3 울트라에서 10배 광학 줌을 지원하며, 최대 100배 줌까지 촬영할 수 있는 기술력을 선보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폰에서 10배 광학 줌을 왜 지원하지 않는지 궁금해하는 유저들이 많았다.

그런데 최근 애플은 아이폰 15 프로 맥스에 10배 광학 줌을 지원하지 않는 이유가 알려졌다. 애플 카메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사장 존 매코맥(Jon McCormack)은 프랑스 매체 뉘메라마(Numerama)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를 직접 밝혔다.
존 매코맥의 설명에 따르면, 애플이 10배 줌 대신 5배 줌을 선택한 이유를 크게 3가지라고 한다. 우선 10배 줌은 유저 입장에서 사용하기 애매한 초점 거리라는 입장이다. 일반적으로 DSLR에서 가장 인기 있는 렌즈 길이는 24-70mm이다. DSLR로 10배 줌을 촬영하려면 120mm 렌즈를 사용해야 하는데, 흔히 말하는 대포 카메라가 바로 이것이다.
초점 거리에 따라 렌즈를 좋고 나쁘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초점 거리에 따라 촬영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물에 맞는 렌즈를 선택할 뿐이다. 이는 스마트폰 카메라도 마찬가지다. 갤럭시가 아이폰보다 더 높은 줌 배율을 지원한다고 해서 무조건 카메라 성능이 좋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다만 애플은 10배 광학 줌을 유저들이 사용하기에는 그리 좋지는 않다고 판단한 듯싶다. 존 매코맥은 ‘10배 줌을 사용하면 피사체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며, 이미지를 자칫 낯설게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10배 줌으로 인한 안정적인 촬영도 문제로 꼽았다. 카메라는 줌 배율을 높일수록 손떨림이 크게 나타나고, 초점을 잡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120mm같이 긴 렌즈로 촬영할 때 삼각대의 도움을 받고는 한다. 손으로만 찍으면 현실적으로 흔들림이 없을 수 없기 때문.
존 매코맥은 갤럭시 S23 울트라의 10배 줌 역시 삼각대같은 보조 도구가 없다면 사용하기 무척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아이폰 15 프로 맥스의 5배 줌은 광학식 손떨림 방지 기능(OIS)과 자동으로 초점을 잡아주는 3D 센서를 탑재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높은 줌 배율 대신 더 큰 조리개를 택했다는 게 애플의 입장이다. 존 매코맥은 카메라를 5배 줌으로 제한하면 더 큰 조리개를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갤럭시 S23 울트라의 조리개 값은 f/4.9, 아이폰 15 프로 맥스는 f/2.8이다.
사진은 조리개 값이 낮을수록 더 밝게 나온다. 조리개는 빛이 통과하는 구멍으로, 사진의 밝기와 노출 정도를 결정한다. 조리개 값이 낮다는 건 조리개가 그만큼 열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리개 값이 큰 아이폰이 야간 촬영 시 갤럭시보다 좀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는 지난 22일부터 북미와 유럽, 중국 매장에서 오프라인 판매를 시작했다. 새로운 카메라 기술을 적용한 만큼 많은 유저들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