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게티 이미지)
최근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 AI 도구가 인기다. 미리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단순한 명령만 입력해도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다. 나날이 발전하는 AI 기술 덕에 만들어지는 콘텐츠 품질도 상당히 높아졌다.
현재 여러 기업에서는 생성 AI를 제공 중이다. 오픈AI(Open AI)의 달리(Dall-E)나 미드저니(Midjourne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출처: 게티 이미지)
스톡포토 기업 게티 이미지(Getty Images) 역시 생성 AI 활용에 나섰다. 게티 이미지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자사 사이트를 통해 새로운 AI 이미지 도구를 공개했다. 현재는 데모 신청을 한 기업용 계정에 한해 AI 도구를 미리 사용해보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기능은 다른 AI 도구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만들고 싶은 이미지를 프롬프트에 텍스트로 입력하면 AI가 콘텐츠를 생성해준다. 만약 ‘야자수가 가득한 열대 모래섬 사진을 만들어줘’라고 입력했다면 아래의 이미지같은 결과물을 제시해준다. 콘텐츠 유형, 비율, 색상 및 무드 등 세부 내용도 수정할 수 있다.
게티는 엔비디아(Nvidia)의 AI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4억 7700만 개의 게티 스톡 콘텐츠를 학습시켰다고 밝혔다.
(출처: 더버지)
여러 외신에서는 게티가 생성AI 도구를 출시했다는 것이 다소 의외라는 분위기다. 게티는 이전부터 생성AI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생성 AI는 저작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은데, 아직 이와 관련한 보호 장치가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게티 이미지 최고 경영자(CEO) 크레이그 피터스(Craig Peters)는 AI 이미지 판매가 법적으로 위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실제로 게티는 올해 1월, 스태빌리티 AI(Stability AI)에 대해 저작권 위반 혐의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스태빌리티 AI가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 게티 이미지를 불법으로 복사해 활용했다는 게 게티의 입장이다.
게티 이미지 AI 도구를 활용해 이미지를 생성한 모습 (출처: 더버지)
생성 AI를 활용한 콘텐츠의 경우 저작권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소송을 진행한 장본인이기에 게티 역시 이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 터. 그렇다면 게티는 AI 이미지 도구에 어떤 보호 장치를 마련해놓았을까?
우선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유형을 제한했다. AI는 이미지에 종종 잘못된 정보를 담거나 기존 이미지를 표절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혼란을 준다. 미국 펜타곤(국방부)에 대형 폭발 사고가 난 이미지나 트럼프가 길거리에서 경찰에게 체포당하는 이미지가 떠돌면서 한때 SNS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확인 결과, 해당 이미지는 모두 AI가 생성한 가짜 이미지로 판명나면서 AI의 심각성을 일깨웠다.
게티는 이러한 상황을 우려해 AI 도구에 보호 장치를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IT 매체 더버지(The Verge)에 따르면, 실제 인물은 프롬프트에 입력되지 않는다고 한다. 만약 인물이 들어간 이미지를 생성할 경우, 무의식적인 편견을 막기 위해 성별과 인종을 제한하지 않은 결과물을 보여준다. 이후 해당 이미지는 게티 라이브러리에 포함되지 않는다.
(출처: 셔터스톡)
이미지 라이센스 규정도 마련했다. 게티 측 설명에 따르면, AI가 생성한 이미지에는 회사의 표준 로열티 프리 라이센스가 적용된다고 한다. 해당 라이센스는 사용자에게 법적 문제 없이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원작자에 대한 보상도 제공한다. AI는 학습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창작물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작자에 대한 보상이 중요한 부분이다.
게티는 이를 고려해 원작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AI 도구에서 발생한 수익은 파일당 비례 지분과 기존 라이센스 수익을 기반으로 한 지분 모두를 고려해 적절히 할당할 것이라고 한다.
게티의 경쟁사 셔터스톡(Shutterstock)과 어도비(Adobe) 역시 AI 이미지에 대해 유사한 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셔터스톡은 이미 AI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사용한 데이터 원작자에게 보상을 지불하고 있으며, 어도비는 자사 스톡 콘텐츠 라이브러리인 어도비 스톡의 기여자들을 위한 보상 모델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테크플러스 에디터 김하영
tech-plus@naver.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