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의 아이폰 15 시리즈 출시가 3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아이폰 15 시리즈 일부에 장착되는 바이오닉(Bionic) A17 칩셋의 제조 공정이 바뀔 수도 있다는 소식에 큰 파문이 일었다. 전력 효율성보다는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한 선택으로 비춰진다.
아이폰 15 시리즈는 ▲아이폰 15 일반 모델 ▲아이폰 15 플러스 ▲아이폰 15 프로 ▲아이폰 15 프로 맥스 4가지 모델로 출시될 예정이다. 그 중에서도 일반 모델은 애플의 바이오닉(Bionic) A16 칩셋이 장착될 예정이며, 나머지 기기인 아이폰 15 프로와 아이폰 15 프로 맥스는 모두 바이오닉 A17이 장착될 것으로 추측된다.
바이오닉 A16과 A17은 생각보다 차이가 클 수 있다. 아이폰 15 일반 모델에 장착될 바이오닉 A16은 TSMC의 4나노 공정을 기반으로 제조된 칩이다. 반면 바이오닉 A17은 3나노 공정으로 제조된 애플의 첫 칩셋이다. 공정 자체가 달라진 바이오닉 A17은 전작들과 비교해 전력 효율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초기 바이오닉 A17 칩셋은 TSMC의 N3B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될 것으로 알려졌다. TSMC의 N3B 프로세스는 애플 전용 TSMC의 3나노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TSMC의 다른 고객사들은 N3B가 아닌 N3E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하지만 새로운 정보에 따르면 프로세스가 전향될 수도 있다. 중국 웨이보(Weibo)의 ‘핸드폰 웨이퍼의 달인(手机晶片达人)’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팁스터는 A17 바이오닉 칩셋이 2024년에는 N3E 프로세스로 전환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퀄컴과 미디어텍이 내년에 채택할 것으로 알려진 공정과 동일하다.
N3E 프로세스는 N3B 프로세스보다 줄어든 극자외선(EUV) 레이어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트랜지스터를 특징으로 한다. N3E 프로세스는 이전 5나노 N5 공정과 동일한 하이비트 SRAM 셀 크기가 제공된다. 결국 N3E 프로세스는 N3B 프로세스보다 제조 비용이 더욱 저렴하지만 칩셋이 얻는 효율성은 더욱 저하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3E 프로세스는 N3B 프로세스보다 프로세스 자체에서는 더 나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이유는 이미 오랜 시간동안 대량 생산을 준비한 TSMC의 N3B 프로세스가 대량으로 생산될 채비를 마쳤으나 N3E 프로세스보다 수율이 낮기 때문이다.
시험적으로 설계된 N3B 프로세스는 TSMC의 후속 프로세스와도 호환되지 않는다. TSMC는 3나노 파생 공정으로 N3P, N3X, N3S 등 도입을 순차적으로 준비 중이다. N3B 프로세스로 제작하게 되면 애플은 TSMC의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 칩을 향후 재설계해야 한다.

그렇다면 바이오닉 A17 프로세스가 N3B에서 N3E로 전환되면 어떤 기기에 영향을 미칠지 궁금할 수 있다. 외신들은 대체로 아이폰 15 시리즈보다 아이폰 16 시리즈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애플 전문 매체 맥루머스(MacRumors)는 N3E 프로세스로 제조된 칩은 내년 표준 아이폰 16 일반 모델과 16 플러스 모델에 탑재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IT 전문 매체 Wccf테크(WccfTech)도 비슷한 입장을 보였다. Wccf테크는 아이폰 16 시리즈 중 아이폰 16 일반 모델에 N3E 프로세스로 제조된 바이오닉 A17 칩셋이 장착될 것으로 추측했다.
이유는 웨이보 팁스터의 정보에 따르면 2024년부터 바이오닉 A17 칩셋의 프로세스가 전환될 것이라고 했는데, 아이폰 15 시리즈의 출시까지는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애플이 급진적으로 아이폰 15 시리즈의 프로세스를 변경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렇다면 아이폰 16 시리즈에 장착될 바이오닉 A17 칩셋은 어떻게 달라질까. 애플은 항상 일반 모델과 프로 모델의 성능에 차이를 뒀기 때문에 N3E 프로세스로 제조된 바이오닉 A17 칩셋은 아이폰 16 일반 모델일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아이폰 16 프로 모델인 아이폰 16 프로와 프로 맥스는 애플의 향상된 바이오닉 A18 칩셋이 탑재될 수도 있다.
바로 바이오닉 A15 칩셋이 적용됐던 과거의 사례를 통한 추측이다. 바이오닉 A15 칩셋은 아이폰 13 일반་미니 모델에 탑재된 바 있다. 이후 바이오닉 A15 칩셋은 아이폰 14 시리즈 중 일반་플러스 모델에 장착되면서 GPU 코어 수가 하나 더 늘어 탑재된 바 있다.
무엇보다 바이오닉 A17 칩셋은 TSMC의 3나노 공정이 최초로 적용된 칩셋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바이오닉 A17 칩셋이 이전 공정으로 제조된 M 시리즈 칩과 얼마나 큰 차이를 두며 아이폰 15 시리즈에 전력을 공급해줄지 기대감을 불러오고 있다.
댓글0